Site icon Pltaoegle Press

KIA 양현종의 FA 계약 기준점은 김광현의 36억원인가…18시즌 2656⅔이닝의 가치, 안 아픈 게 최고다

2025081423413892450_l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안 아픈 게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KIA 타이거즈 이범호 감독은 올 시즌 막판 이렇게 말했다. 부임 후 2년 내내 크고 작은 부상자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2년 연속 선발투수들이 부상으로 최소 한 차례 이상 부상자명단(IL)을 경험했다. 2년 연속 시즌 도중 토미 존 수술을 받고 시즌을 접은 투수(이의리, 윤영철)들도 있었다.

그러나 딱 한 명의 투수, 양현종(37)에게는 예외였다. 양현종은 2024시즌까지 10시즌 연속 170이닝을 돌파했다. 올해도 충분히 170이닝이 가능한 페이스였지만, 이범호 감독이 전반기 막판 한 차례 휴식기를 주고, 의도적으로 아웃카운트 1~2개를 덜 맡기면서 규정 이닝을 넘기는 수준으로 관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현종은 올해 30경기에서 153이닝을 투구했다. 이는 리그 최다 이닝 16위, 국내 투수 최다 이닝 6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특유의 촘촘한 루틴을 철저히 지켜오며 건강하게 오랫동안 던지는 노하우를 터득했다. 커리어 초창기에는 크고 작은 잔부상이 있었지만, 오히려 30대 초중반을 넘어선 뒤 더 건강하게 투구하고 있다.

리그 전체를 봤을 때도 이 정도 누적 스탯을 남기고 안 아프게 달려온 선수는 거의 없다. 이 점은 무조건 인정받아야 한다. 그렇게 통산 2656⅔이닝을 달려왔다.

그런 양현종은 올 시즌을 마치고 세 번째로 FA 자격을 얻었다. 사실 지난 2~3년간 성적은 다소 눈에 띄게 저하됐다. 2021-2022 FA 시장에서 4년 103억원 계약을 맺었고, 작년과 올해 평균자책점은 각각 4.10, 5.06으로 상승했다.

올 시즌 성적은 7승 9패, 평균자책점 5.06, 피안타율 0.285, WHIP 1.49였다. 구속은 140km대 초중반의 포심 패스트볼이 주를 이루며, 컨디션이 조금 안 좋을 때는 130km대 후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여기에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를 조합해 던지는데, 커브 구사율은 높지 않은 편이다. 본인이 계획한 대로 정교한 투구 운영과 커맨드가 이뤄지지 않으면 실점하기 쉽다.

여전히 양현종의 체인지업을 국내 우타자들이 버거워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변화구의 날카로움도 이전 같지 않은 모습이다.

양현종이 자기관리의 신과도 같은 존재인 것은 분명하지만, 나이를 먹으며 자연스럽게 운동능력이 저하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좋았던 감각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고, 기복이 심해질 수밖에 없다. 그나마 양현종 특유의 경기 운영 능력으로 잘 버텨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올 시즌 도중 연장 계약을 체결한 김광현(2년 36억원) 사례가 자연스럽게 언급된다. 양현종과 김광현은 비슷한 커리어를 걸어왔다. 두 선수 모두 지난 1~2년간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양현종에게도 36억원이 일종의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타 구단 이적 가능성은 0%다. FA가 타 구단으로 떠날 가능성이 없다고 말하는 게 넌센스일 수도 있지만, 양현종에 대해서는 0%라고 해도 무방할 듯하다. KIA가 프랜차이즈 스타로서 섭섭함 없이 대우하고, 양현종도 지나친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면 김광현과 비슷한 수준의 계약을 맺는 것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

다만, KIA에는 양현종 외에도 내부 FA가 5명이나 있어 양현종을 최우선순위로 계약하긴 어려워 보인다. KIA의 최우선순위 FA 잔류 대상자는 역시 최대어 박찬호다.
https://www.mydaily.co.kr/page/view/2025101413253147986

Exit mobile version